팝업레이어 알림

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.

로고


새로운 생각으로 미래의 환경을 선도하는 기업

환경이슈

환경이슈

[물환경] 비음용 지하수 분석 신뢰도 향상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신안환경연구소 조회742회 작성일 22-03-12 17:00

본문

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지하수* 분야의 매질 특성을 반영한 '수질오염 공정시험기준'을 최근 개정(2022.2.17.)하고, 표준화된 시험방법 교육으로 비음용 지하수 수질 분석 결과의

신뢰도를 향상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.
* 지하수는 하천 등 지표수와 달리 균일화된 시료 채취를 위한 양수 과정 및 절차, 시료채취 및 보존 방법 등이 매우 중요

현재 지하수는 '지하수법 시행령'에 따라 음용 및 비음용(생활, 농업, 공업용수)으로 분류되어 있으며, '환경분야 시험ㆍ검사 등에 관한 법률'에 따라 수질을 분석할 때 음용은 '먹는물

수질공정시험기준'을, 비음용은 '수질오염 공정시험기준'을 적용받는다.

국립환경과학원은 비음용 지하수 수질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'수질오염 공정시험기준'에서 지하수 시료 채취 및 보존방법 2항목을 비롯해 △현장측정시험방법 6항목,

△이온류 4항목, △금속류 5항목, △유기물질 2항목, △휘발성유기화합물 7항목, △미생물 1항목 등 총 27항목에 대한 61종의 시험방법을 마련했다.

국립환경과학원은 이번 '수질오염 공정시험기준' 개정으로 비음용 지하수의 시험방법이 명확해짐에 따라, 지하수 수질 분석기관의 시험방법 선정에 대한 어려움이 해소될 것으로

기대했다.

첨부파일


신안환경연구소
Add : 대전광역시 동구 옛신탄진로 2, 3층(삼성동, 본관) 사업자등록번호 : 177-15-00658
Tel.042-638-7215 Fax.042-638-7216 E-mail.ksel0915@ksel.kr

COPYRIGHT © 2022 Shinan Environmental Laboratory. ALL RIGHTS RESERVED.